- 침해사고대응 전문가
전문 침해 대응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의 종류는 다양하다. 트래픽 분석에서부터 악성코드 분석까지 보안 업무의 분야가 다양한 만큼 필요한 기술의 종류도 여러 가지다.
전문 침해 대응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대표적인 업무 스킬 항목을 살펴 보자. 각 업무 마다 기술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눌 수 있다. 기술수준을 나눌 때 어떤 기준으로 나누는지 표를 통해 살펴 볼 것이다. 해당 수준 정의는 조직이나 기업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패킷 분석 레벨
Beginner
- 단일 패킷 분석 – 처음 패킷을 분석하는 분석가는 개별 패킷을 구분하고 패킷 내용을 이해 합니다. 단편화된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 구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헤더 정보 이해 – 패킷 헤더에 포함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TTL 의미와 IP Flags, Fragment Offset이 의미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응용프로그램 식별 – 패킷 데이터의 페이로드 정보를 통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식별을 위해 HTTP/FTP/SSH 등 응용 프로그램 프로토콜 통신 형식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 합니다.
- IP/Port정보 식별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주소와 통신 포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Intermediate
- 단일 패킷 분석 – 패킷을 분석하는 분석가는 개별 패킷을 구분하고 패킷 내용을 이해 합니다. 단편화된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 구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헤더 정보 이해 – 패킷 헤더에 포함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TTL 의미와 IP Flags, Fragment Offset이 의미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응용프로그램 식별 – 패킷 데이터의 페이로드 정보를 통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식별을 위해 HTTP/FTP/SSH 등 응용 프로그램 프로토콜 통신 형식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 합니다.
- IP/Port정보 식별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주소와 통신 포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페이로드 분석 – 통신 애플리케이션 형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달된 파라미터 정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상 파라미터 유형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HTTP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 통신 메소드 종류. Ex. GET / POST / HEAD 등
- 공격 패킷 구분 – 공격 관련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비정상 통신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페이로드 분석을 통해 정상 통신 패킷의 파라미터 정보와 공격을 시도하는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공격 경로 식별 – 공격 패킷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에 사용된 특징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HTTP URL 정보나 시스템 명령 실행 경로 등을 분석해서 공격이 발생한 대상과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공격 영향 구분 – 공격 패킷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에 사용된 특징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파악된 공격 유형과 패킷에 포함된 시스템 응답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파악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파악한 정보를 통해 시스템에 발생 가능한 영향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Advanced
- 단일 패킷 분석/ 풀패킷 분석 – 패킷을 분석하는 분석가는 개별 패킷을 구분하고 패킷 내용을 이해 합니다. 단편화된 패킷의 헤더와 페이로드 구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전체 패킷을 조합해서 세션 기반의 통신 정보를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공격자가 시스템에 연결한 시간, 시스템과 주고 받은 전체 데이터 양, 다운받거나 업로드한 파일 정보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 패킷 재조합, 패킷 필터 – 키워드 또는 통신 유형에 따라 패킷을 재 구성하거나 방대한 패킷에 분석에 필요한 패킷을 효율적으로 분석 할 수 있습니다.
- 헤더 정보 이해 – 패킷 헤더에 포함된 프로토콜 정보를 이해 할 수 있습니다. TTL 의미와 IP Flags, Fragment Offset이 의미하는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응용프로그램 식별 – 패킷 데이터의 페이로드 정보를 통해 통신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식별을 위해 HTTP/FTP/SSH 등 응용 프로그램 프로토콜 통신 형식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 합니다.
- IP/Port정보 식별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주소와 통신 포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 페이로드 분석 – 통신 애플리케이션 형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달된 파라미터 정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정상 파라미터 유형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습니다. HTTP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 통신 메소드 종류. Ex. GET / POST / HEAD 등
- 공격 패킷 구분 – 공격 관련 통신 애플리케이션과 정상 통신 애플리케이션 특징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페이로드 분석을 통해 정상 통신 패킷의 파라미터 정보와 공격을 시도하는 패킷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공격 경로 식별 – 공격 패킷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에 사용된 특징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HTTP URL 정보나 시스템 명령 실행 경로 등을 분석해서 공격이 발생한 대상과 위치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 공격 영향 구분 – 공격 패킷 페이로드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에 사용된 특징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파악된 공격 유형과 패킷에 포함된 시스템 응답 정보를 분석해서 공격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 파악 할 수 있어야 합니다. 파악한 정보를 통해 시스템에 발생 가능한 영향을 분석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보안 관련 이벤트에 대해서 분석 가능한 역량이 구분 됩니다.
초급 | 중급 | 고급 | |
패킷분석 | 단일 패킷 분석헤더 정보 이해응용프로그램 식별IP/Port정보 식별 | 단일 패킷 분석헤더 정보 이해응용프로그램 식별IP/Port정보 식별 페이로드 분석공격 패킷 구분공격 경로 식별공격 영향 구분 | 단일 패킷 분석/ 풀패킷 분석패킷 재조합, 패킷 필터헤더 정보 이해응용프로그램 식별IP/Port정보 식별 페이로드 분석공격 패킷 구분공격 경로 식별공격 영향 구분 |
로그분석 | 윈도우/유닉스 로그 타입 이해로그 저장 경로로그 내용 이해 | 윈도우/유닉스 로그 타입 이해로그 저장 경로로그 내용 이해비정상 로그 식별 | 윈도우/유닉스 로그 타입 이해로그 저장 경로로그 내용 이해비정상 로그 식별 트러블 슈팅원인 분석 |
네트워크 침입탐지 | IDS/IPS 이해오픈 소스(Snort)위험도 구분 | IDS/IPS 이해침입탐지원리 이해오픈 소스(Snort)위험도 구분룰셋 이해기본 구성 및 설정 | IDS/IPS 이해침입탐지원리 이해오픈 소스(Snort)위험도 구분룰셋 이해기본 구성 및 설정설정 최적화룰셋 제작네트워크 구성 및 설치 |
방화벽 | 방화벽 이해접근제어리스트(ACL) | 방화벽 이해침입차단원리 이해접근제어리스트(ACL)ACL 작성 | 방화벽 이해침입차단원리 이해접근제어리스트(ACL)ACL 작성네트워크 구성 및 설치ACL 관련 고급 설정방화벽 운영 및 설정최적화 |
호스트기반 침입탐지 | HIDS 이해오픈 소스(OSSEC) | HIDS 이해침입탐지원리 이해오픈 소스(OSSEC)탐지 항목 이해룰셋 이해기본 구성 및 설정호스트 기반의 침입 | HIDS 이해침입탐지원리 이해오픈 소스(OSSEC)탐지 항목 이해룰셋 이해기본 구성 및 설정호스트 기반의 침입HIDS 설치 및 구성 설계HIDS 탐지 및 수집 항목 정의 |
표 침입대응 수준 정의